공부주제
1. ACL 개요
2. Standard ACL
3. Standard ACL 구성 실습
1. ACL 개요
* ACL이란?
Access Contrl List
라우터는 라우터에 들어온 패킷의 Destination IP가 Routing Table의 경로와 일치할 때 해당 포트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패킷이 담고 있는 Data가 공격적이거나, 불필요할 경우 검증없이 보내게 되면 바이러스에 걸리거나, 해킹을 당하거나, 트래픽이 과중되는 등 불이익이다.
그런 이유로 라우터에서는 Filtering을 해줄 필요가 있는데, 그 Filter를 ACL이라고 한다.
ACL이라는 리스트에 등록된 IP를 가진 패킷이 들어오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Filtering 된다.
전송이 허용되어 포트로 보내지거나
전송이 거부되어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 Standard ACL
- Extended ACL
라우터에 ACL을 만드는 명령어를 입력해서
라우터 안으로 들어오거나 밖으로 나가는 패킷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2. Standard ACL
* 특징
먼저 패킷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패킷의 Header안에 Source IP address가 있고, 이는 출발지를 뜻한다.
Standard ACL 프로토콜은 패킷의 Source IP address만 보고 어떻게 할 지 결정한다.
Router1(config) # access-list 10 deny 172.16.40.0 0.0.0.255
Router1(config) # access-list 10 permit any
Router1(config) # int [port]
Router1(config-if) # ip access-group 10 out
ACL 프로토콜의 순번을 정한다.
거부할 패킷과 와일드마스크를 입력한다.
프로토콜은 순번의 오름차순으로 실행되며, 검사에 걸리면 다음 순번으로 항목 검사는 하지 않는다.
포트에 들어가서 패킷이 나갈 때 10번 ACL로 검사한다고 지정한다.
검사를 했는데, 모두 통과해버리면 자동으로 deny any(모두 거부) 해버린다.
그래서 permit any를 입력해줘야한다.
3. Standard ACL 구성 실습
PC2에서 출발한 패킷은 PC4와 Server0으로 들어갈 수 없도록 Standard ACL 로 구성했다.
이전에 RIPv2로 구성한 동적 라우팅에 스위치 하나를 추가하고 서버와 PC를 연결했다.
도움 주신 선배님
ACL(Access Control List)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ACL(Access Control List)
* ACL - 트래픽 필터링과 방화벽을 구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 라우팅 환경에서 서브넷과 호스트를 ...
blog.naver.com
Standard ACL 끝
'네트워크 > Packet Tracer 가지고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 Dynamic NAT (0) | 2020.12.28 |
---|---|
Packet Filtering(2)_Extended ACL (0) | 2020.12.21 |
동적 라우팅 실습(4)_OSPF 프로토콜 (0) | 2020.12.15 |
동적 라우팅 실습(3)_EIGRP 프로토콜 (0) | 2020.12.14 |
동적 라우팅 실습(2)_RIP 프로토콜 (0) | 2020.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