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Packet Tracer 가지고 놀기

동적 라우팅 실습(4)_OSPF 프로토콜

by 리재윤 2020. 12. 15.

※ 공부 주제

  1. OSPF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적 라우팅 실습하기
  2. 여러 AS를 만들어서 OSPF 실습하기
  3. 라우터 구성에 대해 배우기

1. OSPF 개요

* 라우터 개념 총정리

blog.naver.com/demonicws/40108441909

 

라우터(Router)개념 총 정리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촉진하는 중계 장치, 즉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경로 지정...

blog.naver.com

네트워크의 핵심 라우터에 대한 좋은 설명.


* 인터페이스(포트) 개념

몰랐던 개념을 이렇게 알게 됐다.

무작정 따라했던 Serial 포트 구성이 WAN 구성이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됐다.


* 장비별  Cable 선정

케이블 구성도 Packet Tracer에서 무작정 따라하고 끝내면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데,

이런 숨은 이유가 있었다. 맹목적인 공부가 부끄러운 순간.

그럼에도 하나 알았다. 


* OSPF 구성 실습

개념을 이해했다 싶어서 내맘대로 구성해봤는데 밑에랑 오른쪽 AS에서 네트워크가 안 돈다.

왼쪽은 다른 Area로 넘어간다. 원인을 못 찾았다.

  • ospf process id가 area마다 다르다 -> ospf database가 다르다.
  • backbone area를 잘못 설정했다.(Area 1을 backbone으로 설정해버림;;)

더 깔끔하고 체계적인 토폴로지를 새로 구축할 것.


* 자기 전 수정한 토폴리지

  • 원을 먼저 그린 후 장비들을 배치하니까 심미성이 뛰어났다.
  • ospf 토폴로지의 체계를 이해하고 작업하니까 구성이 수월했다.

* 완성된 OSPF 라우팅

  • ospf process id == 100 통일시켰다.
  • backbone 은 area number 가 0 이다.
  • 1개의 네트워크 당 8개의 호스트를 갖는 서브네팅을 하였다.
  • Area에 맞는 네트워크를 부여하는 게 개연성에 더 좋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들어 Backbone은 B클래스가 더 크고,
    하위 Area는 C 클래스부터 바뀐다. 계층을 분류하는 효과가 있었다.
  • end point 장비는 192.168.0.0부터 시작해서 C클래스가 10씩 증가하는 네트워크로 구성했다. 실제로는 모두 192.168.0.0 으로 만들어도 이상없을거같다.
  •  

네트워크 잘하는 선배님이 너무 많으셔서 좋다..

내용 정리가 진짜 너무 좋다

blog.naver.com/demonicws/40108544654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OSPF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IP 네트워킹에서 사용하기 위...

blog.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