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 주제
- R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습하기
- RIP에 대해 조금 더 깊게 배우기
1. RIP 프로토콜
- RIP 프로토콜은 현재 라우터에서 목적지 라우터까지 가장 적은 라우터를 거치는 경로를 택한다.
- 라우터의 전송 속도는 고려하지 않는다.
- 라우터를 하나 거칠때마다 Hop Count가 하나 추가되고, max 15이다.
- 범용 프로토콜이다.
RIP V2 프로토콜 실습내용
- 장비(포트)마다 IP를 할당한다.
- Default Gateway를 할당한다.
- Router rip 설정을 한다.
Router(config)# router rip
Router(config)# network 10.0.0.0 // 포트에 연결된 ip의 classful 형식 입력
Router(config)# network 192.168.1.0
Router(config)# version 2
Router(config)# no auto-summary
RI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 라우터 자신의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이웃 라우터에게 광고를 한다.
다만, classful 방식으로 광고한다. 그렇게 되면 10.10.10.1/24, 10.10.20.1/24, 10.10.30.1/24 와 같이 서브네팅된 IP가 무시되고, 10.0.0.0/8 로 광고한다. 이것을 auto-summary라고 한다.
즉, 사용자가 255.255.255.0 으로 나눈 서브넷 마스크가 무용지물이 된다.
그래서 해당 문제를 보완한 RIP version 2를 사용한다.
classless 방식이다. 서브네팅 값을 유지한다.
위에 적은 코드가 RIP version2 설정이다.
디테일한 설명 참조는 하단!! ⬇
패킷 트레이서 동적 라우팅 설정 - RIP
라우팅 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정적 라우팅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선 관리하기가 복잡해진다. 그래서 ...
blog.naver.com
기본적인 RIP v2 세팅은 이렇게 끝낼 수 있다.
그러나 RIP 프로토콜 사용시 인접 라우터가 갑자기 죽게되는 경우 이웃 라우터 중 누구는 업데이트 되고, 누구는 업데이트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선 routring loop라는 무한 루프가 발생한다. hop count가 15를 초과하게 되고 에러가 생긴다.
이 문제에 대해 완벽하진 않지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아래 방법은 조금 특수한 조건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 바람.
RIPv2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Version 2)
* RIPv2 - Distance Vector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이나 서브넷과 네트워크 변화가 유동적이지 않는 ...
blog.naver.com
3) Router Ripv1, Ripv2 설정
*Ripv1 RIPv1은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클래스풀 라우팅 프로토콜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나 네트워크 변화가 적은 환경에 적합하
johyungen.tistory.com
오늘도 역시 언뜻보기에만 복잡하지 방법은 간단하다.
'네트워크 > Packet Tracer 가지고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라우팅 실습(4)_OSPF 프로토콜 (0) | 2020.12.15 |
---|---|
동적 라우팅 실습(3)_EIGRP 프로토콜 (0) | 2020.12.14 |
동적 라우팅 실습(1)_동적 라우팅 개요 (0) | 2020.12.12 |
정적 라우팅 실습(2)_라우터 4개 (0) | 2020.12.12 |
정적 라우팅 실습(1)_라우터 2개 (0) | 2020.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