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 주제
- 동적 라우팅 레아이웃 이해하기
1. 동적 라우팅 레이아웃
※ 난 초보니까 모든 내용을 깊게 공부하지 않는다. 간략하게 전체를 아는 게 먼저다.
IGP는 AS 내부간에 통신
EGP는 AS 외부에 있는 네트워크와 통신
(이정도만 알고 넘어가자.)
IGP
Distance Vector : 거리 방향으로 최적 경로를 산정
- RIP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Router 하나를 Hop Count 1로 보고,
출발지 -> 목적지 간에 가장 적은 Hop Count를 가지는 경로를 최적 경로로 지정
참고 : www.geeksforgeeks.org/routing-information-protocol-rip/ - IGRP :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 프로토콜은 CISCO에서만 사용가능하다. )
- Bandwidth, Delay, Load, Reliability, MTU을 포함한 Metric 계산하여 Cost가 가장 낮은 쪽을 최적 경로를 지정.
- Hop Count를 255개까지 사용가능.
- 네트워크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에 비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로를 6개까지 유지할 수 있다.
Bandwidth : 대역폭이라고 하며, 크기가 클 수록 한번에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도 크다고 한다. 하지만 대역폭이 크다고 통신속도가 빠른 것은 아니니 좀 더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대역폭이라는 개념도 기술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므로,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이 모든 대역폭이 이렇다라고 일반화 되어선 안 된다.
Delay : 전송 지연, 전파 지연, 노드 처리 지연, 큐 지연 이 있다고 한다. 지연이란 예정 도착보다 연기됐음을 의미한다.
Delay가 크면 기기 성능이나 통신 환경이 좋지 않다는 뜻이다.
Load : 부하를 뜻하며 1/255 ~ 255/255 사이 값으로 나타낸다. 분자가 클 수록 부하가 크다.
Relability : Cable 등 전용선을 사용하여 Packet을 보낼 때 발생하는 에러율을 계산한 것으로, 목적지에 도착한 Packet의 에러 빈도를 산정하여 0~255 사이 정수 값으로 나타낸다. 값이 클수록 신뢰성이 높다. 자동으로 계산된다.
MTU(Maximun Transmission Unit) : 경로의 최대 전송 유닛의 크기를 말한다.
※ EIGRP는 Enhanced IGRP 라는 뜻으로 IGRP를 여러 방면으로 더 개선한 프로토콜 CISCO에서만 사용 가능.
Link State : 네트워크 상황을 파악하여 최적 경로를 산정
- OSPF : Open Shortest Path First
thejn.tistory.com/85?category=523153
Chapter 11.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Chapter 11.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1. OSPF란 - Link-State Routing Protocol의 한 종류로 Link 상태로 최적 경로를 판단하는 Protocol이다. - SPF(Shortest Path First) 또는 Dijkstra 알고리즘을..
thejn.tistory.com
EGP
m.blog.naver.com/printf7/10171223809
Cisco IOS 기본 명령어
* 라우터 초기 부팅 0x2102 값으로 부팅되면, 맨 마지막에 NVRAM을 참조(RAM으로 설정 내용을 로딩...
blog.naver.com
'네트워크 > Packet Tracer 가지고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라우팅 실습(3)_EIGRP 프로토콜 (0) | 2020.12.14 |
---|---|
동적 라우팅 실습(2)_RIP 프로토콜 (0) | 2020.12.13 |
정적 라우팅 실습(2)_라우터 4개 (0) | 2020.12.12 |
정적 라우팅 실습(1)_라우터 2개 (0) | 2020.12.12 |
Packet Tracer로 VLAN 환경 구축하기 1 (1) | 2020.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