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ind [ find ] : 파일 & 디렉터리를 찾는다. (이쯤되면 파일을 찾을 수 있으면 디렉터리는 된다고 보면 되는 거 같다.)
앞에 붙은 sudo는 super user의 권한을 뜻하는 말이다.
간혹 permission 에러가 뜨면 sudo 명령을 써주면 된다.
super user 설정은 vi /etc/sudoers 로 파일을 열고, 아래와 같이 수정해주면 된다.
현재 나는 일반 유저로 접속했기 때문에 관리자 설정파일에 접근할 수 없다.
sudo 권한이 요구되는 파일은 아직 검색해보지 않았지만, 리스트가 있다.
sudo로 슈퍼 권한을 빌린다.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입력한다. 젤 초기 리눅스를 설치할 때 만들었던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
다음과 같이 일반유저의 이름과 옵션을 입력해준 뒤 저장했는데, 달라진게 없다.
당장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했는데 안됐으니까 일단 넘어간다.
아래 사진은 ls -l 명령으로 파일의 리스트를 출력한 모습이다.
여기서 ljy와 root라고 적혀있는게 있다.
저 이름들은 소유자와 그룹명을 뜻한다.
이 이름을 변경하는데는 super user의 권한이 필요하다. 해서 방금 배운 sudo 명령으로 이 이름을 바꿔본다.
2. chown [ change ownership ] :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명을 변경한다.
이렇게 입력하면
이렇게 바껴있다. sudo의 권한을 가져와서 쓸 땐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3. which : 명령어의 위치를 찾아준다.
'리눅스 > CentOS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Vim 에디터(1) - Vim 에디터 사용 & 명령어 모음 (0) | 2020.12.09 |
---|---|
리눅스 기본명령어(7) - Linux Basic Command (0) | 2020.11.22 |
리눅스 기본명령어(5) - Linux Basic Command (0) | 2020.11.19 |
리눅스 기본명령어(4) - Linux Basic Command (0) | 2020.11.19 |
리눅스 기본명령어(3) - Linux Basic Command (0) | 2020.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