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CentOS 7

리눅스 기본명령어(1) - Linux Basic Command

by 리재윤 2020. 11. 19.
  1.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 : 현재 경로를 보여줌
  2. ls [ list ] : 현재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파일 및 디렉터리 리스트
  3. - rwx rwx rwx -> [ user, group, other ]
    d rwx r-x r-x -> user는 r,w,x 권한 있음, group은 r,x 권한 있음, other은 r,x 권한이 있음
    l rwx r-- --

    - : File,
    d : Directory,
    l : Link

    r : read,
    w : write,
    x : excute

    rwx는 3bit를 가진다. 이렇게 rwx 모두 표시되면 모든 권한이 활성화 된 상태이며 각 비트가 1씩 값을 가진다.
    즉, 뒤에서 앞으로 1비트씩 가지니까, 10진수로 변환하면, 2^0, 2^1, 2^2
    rwx한 덩어리를 10진수로 표현하면 7이된다. (2^0 + 2^1 + 2^2 = 7)
    r-x는 write 권한이 없는 상태로 w 자리가 0비트로 채워진다. 10 진수로 변환하면  5
    r--는 write와 excute 권한이 없으므로 
  4. chmod [ change mode ] : 파일의 read, write, excute 권한을 바꾸는 명령어 rwx -> r-- ....etc
    rwx rwx rwx 이렇게 3묶음이 있는데 한 묶음당 십진수 하나를 준다.
    아래 그림의 경우 user 에게 6, group에게 6, other에게 4를 줬다. 101, 101, 100
    즉, rw- rw- r--이 되도록 mode를 change 했다.

app.js 파일의 3가지 권한(r,w,x)이 바뀐 모습

 -> chmod를 좀 더 직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u = user,

g = group,

o = other

+ = 추가(권한부여)

- = 삭제(권한박탈)

여러개의 권한을 동시에 추가하고 삭제하는 것도 가능.

💛팁!

ls 명령어 안에는 많은 고급 옵션들이 있는데, 이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ls -a, ls -l, ls -al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쓰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고급 옵션 목록은 ls --help 명령어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따라해보면 스압에 걸릴 것이다.

많은 정보 외울 필요는 없다! 쓰는 건 정해져 있으니까

이렇게 정보가 많아 위에 글이 밀려났을 때, 위로 이동하는 방법은

Shift + page up & down

 

반응형

댓글